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견주관절학회

일반인을 위한 건강상식

현재 페이지 경로
  1. HOME
  2. 일반인 광장
  3. 일반인을 위한 건강상식
일반인 광장

어깨 관절염 (어깨 골관절염, 상완골두무혈성괴사증)

증상은 어떤가요?

  • 갑자기 통증이 생기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 수년 혹은 수십년간 어깨 통증이 있어왔던 경우가 많습니다.
  • 통증이 점점 심해집니다.
  • 통증뿐만 아니라 어깨를 잘 움직일 수도 없게 됩니다.
  • 어깨를 움직이려고 하면 속에서 맷돌 갈리는 듯한 느낌이 있는 환자도 있습니다.(특히 팔을 밖으로 돌려 볼 때 속에서 모래가 갈리는 듯한 느낌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환자분들 중 스스로 움직이려고 할 때 어깨 속에서 이가 맞지 않는 톱니 바퀴가 돌아가는 느낌이 난다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는 뭔가요?

이러한 환자들은 물렁뼈가 완전히 없어지고, 뼈까지 파인 소견을 보이므로 다시 관절을 만들어 주는 것이 통증을 감소시키고, 일상적인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길입니다. 이런 경우 통증을 없애기 위해 수술이 아직까지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환자는 물렁뼈가 없어 인공관절을 이용한 치환술을 대부분 시행하게 됩니다.
요즘 무릎관절은 인공관절수술이 보편화 되어 있으나 아직 어깨관절의 인공관절 치환술을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최신 수술 기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본원에서는 적응증이 되는 환자들에 있어 어깨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어깨 인공관절 치환술이란?

어깨 인공관절 치환술은 외상 또는 질병으로 심하게 손상된 어깨 관절을 새로운 관절로 바꿔 주는 수술을 말합니다.
약물치료 및 물리치료 등 보존적 요법에 반응이 없고 다른 수술 방법으로 개선이 힘든 경우에 사용됩니다. 인공관절을 시행함으로써 어깨 통증이 없는 생활이 가능하며, 팔을 들어 올리는 등 운동 기능이 개선되어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인공관절 치환술을 하나요?

  • 류마티스 관절염
  • 퇴행성 관절염 및 외상성 관절염
  • 상완골두무혈성괴사
  • (상완골두무혈성괴사가 진행되어 관절염 소견을 보이고 있으며 통증 및 관절 운동 제한으로 인해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사진)

  • 어깨 뼈의 분쇄 골절
    어깨의 상완골, 견갑골의 심한 골절로 정상적으로 정복이 힘든 경우에 시행하며, 골절유합기간이 필요치 않으므로 조기에 팔 운동이 가능합니다. 심하게 상완골 두가 부서진 경우는 무혈성괴사의 위험이 있어 인공관절을 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깨 인공관절 치환술의 결과

  • 어깨 인공관절 치환술 후 성공율은 약 80-90% 전후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통증의 소실은 90%로 보고되고 있으며, 어깨 운동 범위 증가는 거의 대부분 환자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 어깨 인공관절의 수명은 다른 관절과 버금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수술 후 석고 고정은 필요없습니다.
    손과 팔꿈치의 운동은 즉시 가능하며, 통증이 가시는 대로 어깨 운동을 권장합니다. 대부분 자가 운동 치료로 회복됩니다.
  • 수술 후 수개월간은 되도록 힘든 일을 제한하여야 합니다. 회전근 개 파열이 동반된 경우는 이에 준한 회복기간이 요합니다.
  • 어깨 인공관절 치환술은 큰 수술입니다. 다른 부위의 인공관절과 마찬가지로 수술 후 합병증은 감염, 탈구, 무균성 해리, 골절, 혈관 및 신경 장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마취에 의한 합병증도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 후 회복은 어떻게 되나요?

환자는 수술 수일 후에 통증이 감소되고, 꾸준한 재활치료를 시행할 경우 수술후 약3개월에는 일상적인 집안일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술 1년 후까지도 계속적으로 근력과 어깨를 움직일 수 있는 운동 범위가 향상되어 좋아질 수 있습니다.

사업자번호 : 170-82-00324

COPYRIGHT 사단법인 대한견·주관절의학회. ALL RIGHTS RESERVED.

사무국 : (06349)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1길 10, 413호

Contact KSES : 학술대회, 행정, 세무 관련 문의 (김예진 비서 E-mail. kses1@kses.or.kr, Tel. 010-2428-6290)
학술대회, 홈페이지, 회원 관련  (김미연 비서 E-mail. kses2@kses.or.kr, Tel. 010-6204-3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