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꿈치가 쑤시고 아파요. (팔꿈치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팔꿈치에도 다른 관절과 같이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골관절염, 외상성 관절염 등 여러가지 관절염이 발생합니다. 이 중 원발성으로 발생하는 퇴행성 관절염은 목수, 야구선수 등과 같이 팔에 무리를 주는 직업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다른 원인 없이 팔을 펴거나 구부릴 때 관절의 운동 범위는 어느 정도만 구축되면서 주로 통증을 느끼게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팔꿈치 퇴행성 관절염은 X-ray 검사로 진단됩니다. 특징적으로 상완-척골 관절의 전후면에 골극이 생기고, 상완골의 주두와에 석회화가 관찰됩니다. 관절내유리체가 50%에서 병발하고, 상완-요골 관절의 관절염도 50%에서 관찰됩니다.

- 치료(관절경 수술, 인공관절 수술)
류마티스, 외상성 관절염의 치료는 약물, 운동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심하지 않은 증상이 계속될 때는 관절경 수술로써 통증을 유발하는 골, 연골, 활액막을 제거시켜 관절을 매끄럽게 함으로써 병의 진행을 막으면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게 됩니다. 심할 경우는 인공관절 치환술로 통증을 감소시키고 관절 운동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팔꿈치 인공관절 치환술이란?
팔꿈치 인공관절 치환술은 외상 또는 질병으로 심하게 손상된 팔꿈치 관절을 새로운 관절로 바꿔 주는 수술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수술로 해결할 수 없는 (1)심한 통증, (2)운동 제한, (3)기형, (4)심한 불안정성의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 어떤 경우에 인공관절 치환술을 하나요?
- 류마티스 관절염
- 외상성 관절염
- 팔꿈치 골절 후 발생한 불유함
- 팔꿈치 관절내 복잡 골절
- 심한 습관성 탈구로 팔을 쓰기가 힘들때
- 기존의 다른 수술로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단, 팔꿈치의 염증, 신경 장애가 있는 경우는 잠정적으로 인공관절의 적응이 되지 않습니다.
- 팔꿈치 인공관절 치환술의 결과
- 팔꿈치 인공관절 치환술 후 성공율은 약 90% 전후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통증의 소실은 70-100%로 보고되고 있으며, 팔꿈치 관절 운동범위 증가는 거의 대부분 환자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 팔꿈치 인공관절의 수명은 다른 관절과 버금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수술 후 석고 고정은 필요없습니다. 손과 어깨의 운동은 즉시 가능하며, 통증이 가시는 대로 팔꿈치 운동을 권장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물리 치료는 필요치 않습니다.
- 수술 후 3개월간은 2kg 이상의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되도록 힘든 일을 제한하여야 하며, 4kg 이상의 무게는 피해야 합니다. 수술 전에 굴곡 구축이 45도 이상 있었던 경우는 4-12주간 야간에 신전 부목을 착용하는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 팔꿈치 인공관절 치환술은 큰 수술입니다. 팔꿈치 관절은 고관절 등 다른 관절에 비해 뼈 자체와 관절을 둘러 싸고 있는 연부조직이 적어서 해부학적으로 약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부위의 인공관절과 마찬가지로 수술 후 합병증은 감염, 탈구, 무균성 해리, 굴절, 혈관 및 신경장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마취에 의한 합병증도 고려해야 합니다.